P

2021년의 키워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미리보기

저자 고승연·김준혁·김현욱·노창희·엄윤미·연상모·이규탁·이세형·최은미·전병근·한중섭
에디터 소희준·김민호·이세영·전찬우·정세영
발행일 2021.01.08
리딩타임 12분
키워드
지금, 깊이 읽어야 하는 이유
2021년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국제 정치, 경제, 금융, 미디어, 의료, 교육, 문화 전문가가 꼽은 20가지 키워드.


북저널리즘이 각 분야 전문가들에게 2021년 전망을 물었다. 국제 정치, 경제, 금융, 미디어, 의료, 교육, 문화 분야의 전문가들이 2021년 주목해야 할 20개의 키워드를 꼽았다. 코로나19 판데믹을 겪은 세계의 경제·정치적 변화, 백신 접종을 시작하고 의료 체계를 재정비하면서 제기될 사회적 화두, 문화 측면에서 나타날 새로운 흐름을 읽는다.
저자 소개
고승연은 고려대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 서울과학종합대학원에서 빅데이터 MBA를 취득했다. 매일경제신문사에서 기자로 일하며 각종 세대 기획과 마케팅, 소비 트렌드를 취재했다. 2013년부터 《동아비즈니스리뷰》와 《하버드비즈니스리뷰》 한국판의 에디터 중 1인이자 경영 전문 기자로 일했다. 2020년부터 LG경제연구원에서 근무하고 있다.

김준혁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연구센터의 자문위원 및 강사이자 치과 전문의로 일하고 있다. 진료와 교육을 하면서 의료 정의론을 연구한다. 저서로 《누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역서로 《의료윤리》, 《의료인문학과 의학 교육》 등이 있다.

김현욱은 국립외교원 교수다. 미주연구부장을 맡고 있다. 한미 동맹, 북미 관계, 동북아 안보 등을 주로 연구한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합동참모본부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노창희는 미디어 미래연구소 방송통신·인터넷정책센터 부센터장이다.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겸임 교수, 한국방송학보·정보통신정책학보 편집 위원을 맡고 있다. OTT에 대해 오랫동안 관심을 갖고 미디어 산업과 정책을 연구하며 관련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엄윤미는 벤처 기부 펀드 씨프로그램의 대표다. 플레이 펀드를 통해 어린이들을 위한 제3의 공간에, 러닝 펀드를 통해 교육 실험에 투자한다. 새로운 실험이 많아질 때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대화가 가능하다고 믿는다.

연상모는 동아시아 지역학 연구자다. 외교통상부 중국과장, 주니가타 총영사, 주상하이 부총영사를 역임했다. 현재 성신여대 동아시아연구소 연구위원으로 재임 중이다. 중국과 일본의 정치, 외교를 주로 연구한다.

이규탁은 한국조지메이슨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케이팝과 대중음악을 집중적으로 연구한다. 저서 《케이팝의 시대》, 《대중음악의 세계화와 디지털화》를 비롯해 케이팝과 대중음악에 관한 다수의 글을 썼다.

이세형은 《동아일보》 기자로 근무하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해외 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2018~2019년 카타르 도하의 아랍조사정책연구원 방문 연구원을 지냈고, 2019~2020년 《동아일보》 카이로 특파원으로 활동했다.

최은미는 현재 아산정책연구원의 연구위원이다. 일본 정치 외교, 한일 관계, 동북아 다자 협력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한일 관계의 긴장과 화해》(공저), 〈협력과 갈등의 한일관계, 20년의 변화와 성찰(1998-2017)〉, 《아베 시대 일본의 국가 전략》(공저) 등을 집필했다.

전병근은 북클럽 오리진을 운영하는 지식 큐레이터다. 저서로 《요즘 무슨 책 읽으세요》, 《지식의 표정》, 《궁극의 인문학》, 역서로 《우리는 어디에서 어디로 가는가》, 《21세기를 위한 21가지 제언》, 《신이 되려는 기술》, 《사피엔스의 미래》 등이 있다.

한중섭은 《비트코인 제국주의》 저자다. 증권사에서 IT 산업을 담당하는 애널리스트로 일했다. ‘가치의 인터넷’이라 불리는 블록체인이 금융을 바꿀 것이라 생각하고 블록체인 산업에 종사하기 시작했다. 신기술과 인문학에 관심이 많다. 유튜브와 SNS에서 〈21세기 살롱〉 채널을 운영한다.
키노트
이렇게 구성했습니다

1화. 정치, 경제 키워드
미국, 중국, 일본, 중동 국제 정세
비즈니스, 금융, 미디어

2화. 사회, 문화 키워드
의료
교육, 인문·사회
대중문화
  • 회차
    제목
  • 1화
    정치, 경제 키워드
  • 2화
    사회, 문화 키워드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