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 그럼에도, 나는 영화감독을 꿈꾼다

미리 보기
저자 김보라
발행일 2018.10.30
리딩타임 63분
가격
전자책 8,400원
종이책 12,000원 서점 구매
키워드
지금, 깊이 읽어야 하는 이유
창의적인 것들은 한순간에 나타나지 않는다.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이 필요하다.


끊임없이 생산성을 외치는 사회에서 창의적인 일은 가치를 인정받기 힘들다. 과정에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은 쉬이 과소평가된다. 영화감독 지망생 15인을 심층 인터뷰해 창조적 작업을 위한 과정을 살폈다. ‘덕질’을 하고 ‘멍 때리는’ 시간과 같이 비생산적으로 보이는 과정이 없이는 창작물도 없었다. 미래는 점점 예측 불가능해지고, 모두가 창의적인 능력을 요구받는다. 하지만 그 과정에 대한 존중은 부족하다. 정답이 없는 상황에서는 다들 저마다의 시행착오를 거치며 성장해야 한다. 지망생들을 통해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저자 소개
김보라는 한양대학교 연극영화학과에서 영화를 공부하고,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대학원에서 〈시나리오 작가, 감독 지망생들은 무엇으로 살아가는가?: 불규칙한 유동성의 모순적 공존〉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처음에는 영화 현장을 떠나는 동기를 보며 지망생들이 처한 구조적 문제를 다루려 했으나, 예상하지 못했던 그들의 힘에 매료되어 험난한 영화판을 헤쳐 나가는 원동력을 탐구하게 됐다. 현재는 영상 콘텐츠 제작에 관심을 갖고 EBS에서 PD로 일하고 있다.

키노트
이렇게 구성했습니다

1화. 프롤로그; 감독 이전에 지망생이 있었다

2화. 지망생 1인칭 주인공 시점
무엇도 담보되지 않는 직업
백수는 아닙니다만

3화. 불안정성과의 결별
불안정성과의 결별
먹고사는 문제와 자기 자신

4화. 누가 더 불안한가
불안은 디폴트 값, 그 속에서 찾은 편안함
왜 하고 싶은 걸 안 하고 살아요?

5화.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
지망생의 삶
작가의 조건

6화. 기업가와 예술가 사이에서
감독의 조건

7화. 착취당하지 않는 열정
착취당하지 않는 열정
열정의 또 다른 이름, 의지

8화. 불규칙한 삶에는 철두철미한 자세가 필요하다 
불규칙한 삶에는 철두철미한 자세가 필요하다
작업의 규칙
등을 맞댄 동지들

9화. 에필로그; 푸른 불꽃이 더 뜨겁다

10화. 북저널리즘 인사이드; 무언가가 되지 않더라도

먼저 읽어 보세요

창의성을 활용해 문화적,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문화 산업 종사자들은 창의 노동자(creative labors)로 분류된다. 무형의 가치를 생산해 이윤을 내는 일, 임금을 받으면서 예술가의 창의성을 발휘하는 모든 일이 창의 노동의 영역에 속한다. 저널리스트, 광고 기획자, 게임 개발자 등이 하는 일이다. 창의 노동은 일반적인 노동에 비해 과정에 막대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결과만을 평가하는 풍토에서는 그 비용을 온전히 개인이 감당하게 된다. 통상 10년이 걸리는 영화감독 지망생 기간은 창의 노동의 그러한 특성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창의 노동의 과정 없이는 창의적인 결과물도 있을 수 없다. 이들의 과정은 ‘노동 이전의 노동’으로 재조명되어야 한다.

에디터의 밑줄

“영화계에서는 영화감독이 되기 위해 통상 10년 정도의 지망생 기간을 거친다고 본다. 이 긴 시간 지망생들은 어떤 통계에도 잡히지 않은 채 각자도생하며 살아간다. 통계에 잡히지 않는다는 것은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이들이 어떤 기관에서도 보호받기 힘든 존재라는 것을 보여 준다.”

“새로운 수출 산업으로 기대를 받는 한국의 창의 산업, 그 이면에는 불안정성이 극대화된 창의 노동의 장이 존재한다.”

“어쩌면 영화감독이라는 직업의 본질은 이 지난한 지망생 기간에 있다. 입봉, 즉 상업 영화로 데뷔하기 직전까지 지망생들은 이미 ‘노동 이전의 노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노동은 한 번도 드러난 적이 없다.”

“세상에 없는 거 하나 만들어 놓고 그런 거에 작게나마 보람 느낄 수 있고, 그래서 인생이 뭔지, 왜 외로운 지 조금이라도 더 이해할 수 있으면 가치 있는 삶이라 생각해요. 그렇게 꽂혀서 사는 거죠. 액세서리일지도 모르는 다른 것들 때문에 사는 시늉을 하면서 살고 싶지는 않아요.”

“그들을 만나기 전에는 ‘보통의 삶’도 불안한데, 그들은 얼마나 불안할까 생각했다. 이런 나에게, 그들은 묻는다. ‘그렇게 사나, 이렇게 사나 다 불안한데 왜 하고 싶은 걸 안 하고 살아요?’”

“학교, 회사 등 소속 집단에서 요구하는 반복적인 사이클에 따라 사는 삶이 다소 지루할 수 있지만, 그 지루함에 정비례하는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감독 지망생들은 이와 다르다. 특정 시스템의 제어나 요구를 받지 않는다. 자유로워 보일 수도 있겠지만 이는 정신 상태, 시간 그리고 자금까지 모든 부분이 온전히 자신의 책임과 관리에 달려 있다는 것을 뜻한다.”

“순수한 형태의 열정은 우리 안에 분명 존재한다. 남들이 모두 안 될 거라고 해도 한 번 몸을 던져 보고 싶은 마음 같은 것이다.”
 
코멘트
불안하냐는 질문에 돌아온 대답은 의외로 평화롭다는 것. 불안에 익숙해져 불안감이 디폴트값이 된 경우도 있지만, 대개 경제적 불안보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불안이 더 컸다. 오늘날 모든 삶은 불안하니까. 지망생들의 삶을 통해 창의 노동의 본질을 살펴본다.
시사IN

이 책은 대표적인 창의 노동자인 영화감독 지망생들을 심층 인터뷰해 창조적 작업을 위해 거치는 과정을 조명한다. 누군가는 늘 책과 영화를 감상하고 누군가는 종일 멍하니 작품을 쓴다. 저자는 각자도생하고 있는 지망생들의 삶을 들여다보며 이들의 비생산적인 시간에서 새로운 가치를 읽고 그 시간을 재평가한다.
국방일보

영화감독 지망생들이 거치는 창작의 과정을 보며, 그동안 스스로 비생산적이라고 여겨 온 시간들을 다르게 바라보게 되었다. 그들의 시간은 존중받아 마땅하다. 그들이 유명 영화감독이 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북저널리즘 에디터 한주연

영화 지망생들은 생산성을 요구하는 사회에 순응하기보다 불안하더라도 스스로에게 의미 있는 삶을 선택했다. 그들의 삶을 보며, 나는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지 자문하게 됐다.
북저널리즘 에디터 김세리

기계가 단순 노동을 대신하는 미래에는 ‘창의 노동’이 노동 시장의 주류가 될 것이다.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을 이해하는 것은 감독 지망생의 삶을 응원하는 차원을 넘어 새로운 노동 형태를 이해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다.
북저널리즘 CCO 김하나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