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ATEGY_ 법대로 해야 할 일
도쿄전력은 가동이 중단된 후쿠시마 제1 원전을 둘러보는 ‘시찰투어’를 통해 ALPS로 정화한 오염수, 이른바 ‘처리수’의 안전성을 시연해 왔다. 그런데 지난해 10월, 현지 언론사 《
도쿄신문》을 통해 이 시연이 거짓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방사능 오염 물질을 제대로 측정할 수도 없는 선량계를 가져다 대며 오염수의 안전성을 강조하는 선전을 반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일본의 위험한 ‘처리수’가 방출되면 7개월 후 제주 앞바다에 다다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있다. 방출 후 400일이면 우리나라 영해 전역이 영향을 받는다는 예측도 진작 보도된 바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을까? 있다. 국제 해양법재판소에 잠정 조치 청구 및 제소를 하는 방법이다. 한국도, 일본도 유엔해양법협약에 가입되어있다. 쉽게 얘기하면, 이웃 나라 바다에 해를 끼쳐서는 안 된다. 결국, 우리가 당사자다. 지난 2021년 4월, 문재인 당시 대통령은 해당 조치를 “적극 검토하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이는 현실화하지 않았다.
FORESIGHT_ 용산의 전망
윤석열 정부는 어떨까? 대일 외교 상황을 보면 쉽지 않아 보인다. 미국과도, 중국과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의욕적으로 추진해 온 한일관계 개선은 반드시 달성해야 할 지상과제가 되었다. 문제는 외교란 것이 절실한 쪽부터 접고 들어가야 하는, 얄궂은 게임이란 점이다. 정부가 최근 내놓은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방안에 의구심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까닭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결국, 일본 정부는 예정대로 올봄이나 여름,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금방 터질 수도 있고, 다음 세대에서 드러날 수도 있다. 어쩌면 별다른 낌새를 알아차리지 못한 채 상황이 종료될 수도 있다. 모든 것은 가능성의 문제일 뿐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도 있다. 우리가 입게 될 피해다. 오염수 방류로 제주도의 수산업이 입게 될 피해액만 연간 약 4400억 원으로 추산된다. 정부 입장에서는 외교 문제지만, 어민 입장에서는 생존의 문제라는 얘기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닫았다. 우리 정부는 무엇을 보고, 무엇을 들어야 하는가. 용산에서는 어촌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다고 볼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