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달러화는 석유와 엮이면서 기축 통화의 지위를 다질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금과 석유는 다릅니다. 미국 달러화를 들고 간다고 미국 정부가 은행 금고에서 석유를 내어주는 것은 아니니까요. 그래서 미국은 달러의 경쟁자가 될 수 있는 금을 여전히 경계합니다. 남극에서 북극까지, 전 지구가 그 가치를 무조건 인정하는 화폐는 이 둘뿐이니까요. 금과 달러의 가치는 시소를 타듯 서로 오르고 내리기를 반복했습니다. 그런데 이 둘 사이의 관계에 뭔가 이상한 조짐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2019, 세계화의 종말
시장이 본격적으로 술렁이기 시작한 것은 2019년경입니다. 달러가 강해져도 금값이 버티는 현상이 두드려졌습니다. 공식이 깨진 겁니다. 팬데믹에 따른 예외적인 현상이 아니었습니다. 지금까지도 금의 강세가 계속되고 있으니까요.
그 이유가 드러난 것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였습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러시아를 향한 ‘제재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러시아가 들고 있던 달러 자산이 모두 동결된 겁니다. 규모가 무려 3000억 달러입니다. 러시아로서는 위급한 상황이라도 생기면 쓰려고 열심히 저금해 뒀는데, 막상 돈을 써야 할 때가 오자 은행이 돈을 내어주지 않는 일이 발생한 셈이죠.
참 아이러니한 일입니다. 달러화 자산 동결이라는 제재 수단은 달러 패권 때문에 가능하지요. 그런데 거꾸로 이 제재가 달러 패권을 흔듭니다. 달러로 재산을 모아둬도 휴지 조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직접 목격하게 되니 말입니다. 전쟁 이후 각국 중앙은행은 대놓고
금을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2021년과 2022년 사이에만
1136톤을 사들였죠. 1950년 이후 최대치입니다. 물론,
그럴 수 있는 나라들은 그랬다는 얘깁니다. 그런데 미국의 제재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닙니다. 이미 낌새를 눈치챈 국가를 중심으로 달러보다 금을 쟁여두자는 움직임은 이미 일어나고 있었습니다.
미국을 중심으로 전 세계가 자유롭게 무역하며 저물가 시대를 즐기던 때에는 달러를 의심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을 견제할 만한 세력들이 등장하면서 미국은 장벽을 세우기 시작했죠. 중국 앞에, 러시아 앞에는 아주 두껍고 높은 벽을 세웠습니다. 관세의 방어선을 세우고 제재를 통해
피 흘리지 않는 전쟁을 벌였습니다. 이제 미국 눈 밖에 나면 달러가 휴지 조각이 될 수도 있는 겁니다. 우리도 이 전쟁에 휘말려 있습니다. 지난 2019년, 미국이 이란을 제재하면서 한국의 우리은행에 60억 달러 규모의 원유 수출 대금이 묶여버렸습니다. 이 돈이 이란에 지급되기까지는 4년이 걸렸죠. 이란은 우리은행을 상대로 이 동결 자금 관련 손해배상을
청구하기도 했습니다.
금의 죗값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제재 전쟁은 더욱 독해질 겁니다. 그렇다면 각국의 중앙은행은 금을 더욱 사들이겠죠. 게다가 트럼프는 금리를 낮춰야 한다고 연준을 압박하고 있습니다. 금의 힘이 더욱 강해질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이렇다 보니 금을 캐고자 하는 욕망도 집요해지고 있습니다. 버려지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에서 금을 캐내는 ‘도시 광산’ 개발 같은 것 말입니다. 전자 기판 1톤당 150그램 정도의 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합니다.
금을 향한 욕망이 잔인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남미를 중심으로 불법 금광 개발이 성행하고 있습니다. 범죄 조직이 개입한 불법 광산에서, 금광 노동자들은 독한 화학 물질과 더 위험한 환경을 감당해야 합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불법 채굴을 근절하기 위해 정부가 여러 광산을 봉쇄하기도 했습니다. 광산에 갇혔던 광부들이 굶주림을 견디다 못해 밖으로 나오면 체포했죠. 하지만 그들은 먹고살 방법이 없어 더 이상 파 내려갈 수 없는 광산으로 들어간 사람들입니다. 광산 밖으로 나온다고 뾰족한 방법이 없습니다. 결국, 한 광산에서는 500여 명이 갇혀 있다가 100명 넘게 숨지는 일까지 발생했습니다.
앞으로도 금을 얻기 위해 누군가는 유독 물질을 들이마시고, 무너지는 갱도 안으로 발을 내디딜 겁니다. 달러 패권이 흔들릴수록 더욱 그렇겠지요. 이 새로운 시대에 개인도, 국가도 준비가 필요합니다. 다만, 역사는 예상치 못한 등장에 방향을 바꾸곤 합니다. 달러와 금의 힘겨루기에도 변수가 등장할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면 암호 화폐가 진짜 화폐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