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광 토끼를 팝니다

bkjn review

인간이 넘어서는 안될 선을 넘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우리는 그 선을 진작에 넘어섰을지도 모릅니다.

형광 토끼를 팝니다

2025년 2월 25일

차세대 반려동물을 만들겠다는 스타트업이 나타났습니다.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형광 토끼’,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 ‘저자극성 고양이와 개’ 등을 만들겠다는 겁니다. 완전히 황당한 얘기는 아닙니다. ‘로스앤젤레스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이 회사의 창립자는 업계에서는 이미 유명한 바이오 해커, 조시 제이너입니다. 제이너는 이미 오딘(Odin)이라는 회사를 설립해 가정용 유전공학 키트를 판매하고 있죠. 유전자 조작을 통해 잎의 색을 바꾼 식물이나 해파리의 유전자를 이용해 빛을 내는 박테리아를 배양시킬 수 있는 가정용 키트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야광 토끼를 만들어 판매하겠다는 계획은 샬레 위에서 빛나는 야광 박테리아와는 차원이 다른 얘기입니다. 자연 상태에 존재하지 않는 동물을 인간의 욕망을 위해 직접 창조한다는 아이디어는 불경스럽게 느껴지는 구석이 있죠. 가늠도 할 수 없는, 그래서 대비할 수 없는 위험을 불러오지는 않을까 하는 막연한 불안도 들고요. 하지만 제이너의 아이디어는 전혀 창의적인 것이 아닙니다.

Bio-Art

지난 2000년 시카고 예술학교의 에두아르도 카츠(Eduardo Kac)가 형광 토끼를 선보였습니다. 색소 결핍이 있는 알비노 토끼에 발광 해파리에서 추출한 형광 유전자(GFP, Green Fluorescent Protein)를 주입한 겁니다. 이 토끼에 적외선을 쬐면 형광색으로 빛납니다. 프랑스 국립작물재배연구소와의 협업이었지만, 이 ‘작품’은 연구가 아니라 예술이었습니다.

이런 작업은 ‘바이오 아트(Bio-Art)’라는 장르로 명명됩니다. 사례는 많습니다. 예를 들면, 담배, 껌, 머리카락 등을 공공장소에서 수집한 후 DNA를 추출하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사람 얼굴을 만들어 낸 전시도 있었죠. 작가마다 작품에 담는 메시지는 제각각이겠지만, 바이오 아트는 논란을 몰고 다닙니다. ‘인간에게 이럴 자격이 있나?’라는 질문부터 DNA 정보는 누구 것인지, 생명의 조건과 권리는 무엇인지 등을 질문하게 됩니다. 

형광 물고기

다만, 바이오 아트는 화이트 큐브 안에 갇혀 있습니다. 작품으로 창작되어 전시되고 논의된 후 끝입니다. 하지만 판매 목적으로 유전자 조작 동물을 만드는 것은 다른 얘기입니다. 아직 형광 토끼를 구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형광 물고기’는 살 수 있죠. 그것도 아마존에서 클릭 한 번이면 됩니다.

글로피시(GloFish)라는 이름의 ‘상품’입니다. 어둠 속에서 형광 빛깔로 빛나는 이 물고기는 원래 환경 감시를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1999년, 싱가포르 국립대 연구팀이 환경 감시를 위해 연구하던 내용을 미국의 청년 사업가들이 상품으로 발전시켰습니다. 2004년 1월 시장에 처음 출시될 때까지는 비난과 우려가 따라붙었습니다. 신기한 반려동물을 만들기 위해 보건적, 환경적 리스크를 짊어질 수 없다는 것이었죠. 하지만 시장 논리가 이겼습니다. FDA는 식용이 아닌 동물이므로 유해성이 없다고 판단했고, 글로피시는 출시와 함께 소위 ‘대박’이 났습니다.
로스앤젤레스 프로젝트의 조시 제이너는 유전자 편집과 같은 과학 기술이 모두의 것이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출처: Think Free
근친 교배의 비극

다만, 유전자 공학의 발전에 모든 책임을 떠넘길 수는 없습니다. 지금 우리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반려견에 관해 생각해 볼까요.

본격적으로 다양한 품종의 개를 만들기 시작한 것은 18~19세기입니다. 당시 영국에서는 산업 혁명과 함께 귀족에서 중산층으로 ‘애견’ 문화가 퍼지기 시작했죠. 1859년 영국 뉴캐슬에서는 세계 최초의 ‘도그쇼’가 열리기도 했고요. 사람들은 더 아름답고 귀여운 개를 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순종’ 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한 이유입니다. 특정 종의 개가 인간의 심미적 욕구를 만족시키는 특질을 가지고 있으면 그 특질을 극대화하기 위해 근친 교배가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면 더 큰 눈, 더 짧은 코와 입, 더 작은 몸집 같은 것 말입니다.

하지만 근친 교배는 귀여운 외모뿐만 아니라 유전적 결함도 극대화하죠. 그래서 순종견들은 각종 유전적 질환에 시달립니다. 불도그는 제왕절개 없이 자연 출산이 힘들고 수면무호흡증을 앓는 경우가 많습니다. 눈이 큰 개들은 백내장에 걸리고 다리가 짧은 개들은 관절염에 걸리죠. 생존에 불리한 특질들이 극대화되었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시선

로스앤젤레스 프로젝트의 형광 토끼 판매 계획이나 글로피시의 사례는 얼핏 인간이 넘어서는 안 될 선을 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하지만 우리는 그 선을 진작에 넘어섰을지도 모릅니다.

법철학자인 마사 누스바움은 저서 《동물을 위한 정의》에서 경이와 연민, 격분이라는 세 가지 감정을 강조합니다. 인간이 고개를 돌려 비인간 존재를 바라볼 때 경이가 함께합니다. 동물의 고통에 공감하는 연민이, 동물을 향한 가해에 반대하는 격분이 현실을 바꾸고, 인간의 책임을 다할 수 있게 한다는 겁니다.

이 세 가지 감정에 기초하여 우리는 다시 질문을 던져 볼 필요가 있습니다. 인류는 자연과 더욱 분리되는 존재가 될 것인지, 혹은 다시 자연과 화해하는 존재가 될 것인지 말이죠. 그 질문에 답을 한 이후에야 유전자 조작을 통해 탄생한 형광 토끼의 존재에 관해, 그 토끼가 상품이 되어 거래될 가까운 미래에 관해 진정한 논의가 시작될 수 있을 겁니다.
* bkjn review 시리즈는 월~목 오후 5시에 발행됩니다. 테크와 컬처, 국제 정치를 새로운 시각으로 이야기합니다.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신가요?
프라임 멤버가 되시고 모든 콘텐츠를 무제한 이용하세요.
프라임 가입하기
추천 콘텐츠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