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뉴스 시대의 연민 피로 타인의 고통을 염려하지 않는 사람들

미리 보기
저자 엘리사 가버트(주지형 譯)
발행일 2018.11.30
리딩타임 15분
가격
전자책 3,600원
키워드
지금, 깊이 읽어야 하는 이유
충격과 분노를 일으키는 이미지의 홍수,
정보를 거부하고 마음을 닫는 사람들.


24시간 끔찍한 뉴스가 쏟아지면서 타인의 고통을 염려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 저자는 공감도 소진되는 자원이라고 주장한다. 눈앞의 참상이 워낙 크고 많아서 더 이상 내어 줄 공감이 없는 상태라는 지적이다. 연민 피로는 개인의 병리 현상에 그치지 않는다. 타인의 고통에 대한 무관심과 무력감은 또 다른 폭력으로 이어진다. 24시간 뉴스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은 연민 피로의 징후를 스스로 살피고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15분이면 끝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A4 8장 분량).

The Guardian × BOOK JOURNALISM
북저널리즘이 영국 《가디언》과 파트너십을 맺고 〈The Long Read〉를 소개합니다. 〈The Long Read〉는 기사 한 편이 단편소설 분량이라 깊이 있는 정보 습득이 가능하고, 내러티브가 풍성해 읽는 재미가 있습니다. 정치, 경제부터 패션, 테크까지 세계적인 필진들의 고유한 관점과 통찰을 전달합니다.
저자 소개
저자 엘리사 가버트(Elisa Gabbert)는 시인이자 수필가이다. 《L’Heure Bleue, or the Judy Poems》, 《The Self Unstable》, 《The Word Pretty》 등의 저서가 있다. 《The Self Unstable》은 《New Yorker》가 선정한 2013년 최고의 책에 올랐다. 《New Yorker》, 《Paris Review Daily》, 《Boston Review》, 《Harvard Review》를 비롯한 여러 저널에 시와 수필을 기고했다.
역자 주지형은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환경경영 석사를 마치고 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연구원과 아셈중소기업친환경혁신센터 선임 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 영국 리즈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 과정에 있으며 국제 탄소 시장을 연구하고 있다.
키노트
이렇게 구성했습니다

1. 연민 피로란 무엇인가
트럼프 시대의 연민 피로
연민피로의 임상적 정의

2. 정서 자원의 소진
돌봄자의 연민 피로
연민 피로 극복을 위한 지침

3. 미디어의 선정성
충격과 분노를 일으키는 이미지의 홍수
타인에 대한 공감은 자기 연민의 일종이다

4. 정서적 지구력의 보존
연민 피로를 피할 수 있을까
동정 내려놓기

먼저 읽어 보세요

연민 피로(compassion fatigue)는 연민 스트레스에 장기간 노출되어 생기는 생물학적, 생리학적, 정서적인 탈진과 기능 장애 상태를 뜻한다. 증상은 행동 변화(쉽게 놀라거나,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하거나), 신체적 변화(탈진, 불안, 심박 수 증가), 정서적 변화(무감각, 우울, 목적의식 감소)다. 정신적 외상의 최전선에서 일하는 의료진들이 겪는 현상이었지만, 24시간 뉴스의 시대가 열리면서 모든 사람이 비슷한 위험에 처해 있다. 현대인들은 충격과 분노를 일으키는 이미지의 홍수에서 허우적대다가, 급기야 정보를 거부하고 마음을 닫는다. 누구의 잘못일까? 우리인가, 미디어인가?

에디터의 밑줄

“우리는 매일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끔찍한 사건들을 그 어느 시대보다 많이 마주하고 있다. 그런데 너무 많은 참상을 보면서 점점 무감각해지는 위험에 빠지는 것은 아닐까?”

“다른 사람의 트라우마를 인식하는 것으로도 트라우마가 된다는 주장이 있다. 아직 확실히 규명되지는 않았지만 마치 간접흡연처럼 트라우마에 근접한 것 자체로 심리적 손상을 입을 수 있다는 뜻이다.”

“미디어가 가난과 질병, 죽음으로 이어지는 트라우마 사이로 숨 막히는 여행을 하는 것 같다. 문제들은 흐릿해진다. 여러 위기들은 통틀어 하나의 위기가 된다. 방대한 양의 좋지 않은 뉴스들이 대중들을 ‘연민 피로에 무너진 멍청이’로 몰아가고 있다.”

“몰러는 연민 피로가 악순환의 구조라고 말한다. 전쟁과 기근 이야기가 계속되면 우리는 싫증을 느낀다. 이전에 이런 일들을 봐왔기 때문이다. 지루함을 깰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재앙이 이전보다 더 심하다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다른 신진대사 과정처럼 공감에도 비용이 든다. 배고픔이 먹는 것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연민도 구체적인 행동으로 표현되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을까? 에너지 낭비일 뿐이라면 감정 공급을 중단하는 편이 합리적일 것이다.”
코멘트
타인의 고통을 관망하는 행태, 이미지 과잉의 사회, 공감적 상상력의 실패에 대해 더 깊이 읽고 싶다면 수전 손택의 명저 《타인의 고통》을 권한다.
북저널리즘 CEO 이연대

연일 쏟아지는 우울한 보도에 우리 모두는 어느 정도 ‘연민 피로’를 느끼고 있다. 그러나 괴로움을 마주하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는 사람들의 세상은 점점 더 괴로워질 뿐이다. “절망에 빠져 있는 것은 전략이 아니”라는 저자의 이야기를 마음에 새겨 본다.
북저널리즘 CCO 김하나

몇 년 전부터 뉴스를 통해 비극적인 사건을 접할 때마다 뭐라 형언할 수 없는 감정을 느꼈다. 이 글을 읽고서 비로소 그 감정에 ‘연민 피로’라는 이름을 찾아줄 수 있었다. 공감도 소진되는 자원이라는 저자의 주장에 또 한 번 공감하고 말았다.
북저널리즘 에디터 엄보람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