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2월 17일 사회
구글이 멈추자 생긴 일
구글이 지난 14일 전 세계에서 먹통이 됐다. G메일, 구글 드라이브, 유튜브 등 주요 서비스가 1시간가량 접속 장애를 일으켰다. 서비스 전반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은 2013년 이후 처음이다.

핵심 요약: 이번 서비스 장애로 사용자들의 불편은 어느 때보다 컸다. 비대면 업무 확산 등으로 구글 서비스 이용이 늘었기 때문이다. 업무와 교육 등 일상 속 구글 의존도가 과도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로그아웃한 구글: 먹통 현상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발생했다. 우리나라에서는 14일 오후 8시 30분쯤부터 한 시간가량 지속됐다.  
  • 접속 장애는 G메일, 구글 드라이브, 구글 지도, 구글 미트 등에서 발생했다. 전부 구글 계정에 로그인해야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구글 플레이 계정과 연동된 게임도 접속이 안 됐다.
  • 구글은 서비스의 로그인을 책임지는 ‘인증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다고 원인을 설명했다. 이어 향후 재발 방지도 약속했다. 유료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피해 배상 언급은 없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구글에 ‘넷플릭스법’을 처음 적용했다. 넷플릭스법은 인터넷망의 안정성 유지를 위해 기업에 관리 의무를 부과한 법이다. 이에 따라 구글은 이달 30일까지 해명 자료를 제출해야 한다. 다만 이번 접속 장애 시간이 기준인 4시간보다 짧아 피해 보상은 없을 전망이다.

구글과 함께 멈춘 일상: 구글 먹통에 사용자들은 즉각 반응했다. ‘구글다운(google down)’ 해시태그가 달린 수십만 개의 트윗과 관련 밈(meme)이 실시간으로 쏟아졌다.  
  • 회사나 집에서 구글 서비스로 일하는 사람들은 업무 마비를 겪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뉴스 작성 시스템을 사용할 수 없었고, 구글 클라우드 기능에 의존한 병원에서는 의사들이 일정 확인을 못 했다. 
  • 교육 현장도 혼란스러웠다. 학생 수가 9800여 명인 미국 웨인 웨스트랜드 커뮤니티 스쿨은 휴교령까지 내렸다. 그동안 화상 서비스인 구글 미트로 수업을 진행해 왔기 때문이다.
  • 사물인터넷(IoT)과 연결한 인공지능 스피커 구글 홈 사용자들도 불편을 호소했다. 커뮤니티에는 구글 홈이 갑자기 작동하지 않아 전등이나 보일러 등을 켤 수 없었다는 게시글까지 올라왔다.  

구글 없인 못 살아?: 지난 2013년 8월 구글 서비스가 5분간 멈춘 적이 있다. 당시 5분 만에 전 세계 웹 트래픽이 40퍼센트 감소했다. 일상에서 구글에 대한 의존도가 얼마나 큰지 보여 준 사건이었다. 시간이 흐른 지금 구글 서비스 사용량은 더 늘었다. 《가디언》은 이번 구글 서비스 장애에 대해 “한 회사의 서버 접속 오류가 일상 곳곳의 활동을 중단시켰다”며 “이번 일을 계기로 구글 의존도를 실감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0년 3월 24일 사회
영상 스트리밍이 지구를 달구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생산과 소비가 둔화되고 차량 운행이 감소하면서 대기 질이 좋아졌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긴 실내 생활이 인터넷 트래픽 폭증으로 이어져 기후 변화에 이롭지만은 않다는 주장도 있다.

핵심 요약: 인터넷은 생각만큼 깨끗하지 않다. 프랑스의 싱크탱크 ‘더 시프트 프로젝트(The Shift Project)’에 따르면 인터넷 관련 산업은 항공 산업보다 이산화탄소를 많이 배출한다.
실내 생활과 인터넷 트래픽: 코로나19의 세계적 유행으로 35개국에서 9억 명이 집에 갇혀 지내면서 인터넷 트래픽이 급증하고 있다.
  • 이탈리아의 통신사 ‘텔레콤 이탈리아’는 지난주 이탈리아가 폐쇄됐을 때 유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트래픽이 70퍼센트 급증했다고 밝혔다. 트래픽 상승의 주요 원인은 포트나이트 같은 온라인 게임이었다.
  • 넷플릭스, 유튜브, 아마존 프라임은 당분간 유럽에서 영상 스트리밍의 품질을 떨어트려 서비스하기로 했다. 유럽 연합(EU)이 인터넷 트래픽 과부하에 걸리지 않도록 해달라고 권고한 데 따른 조치다.

인터넷은 생각만큼 깨끗하지 않다. BBC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인터넷 기기 제조와 전원 공급, 데이터 센터 운영 등 인터넷 관련 산업이 발생시키는 이산화탄소는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3.7퍼센트를 차지한다. 항공 산업이 내뿜는 양보다 많다.
  • 인터넷 관련 산업은 연간 17억 톤의 온실가스를 배출한다. 한국이 1년 동안 배출하는 온실가스(7억 톤)의 2.4배에 달한다.
  • 웹 서핑에 필요한 에너지는 극히 적다. 문제는 압도적인 이용자 수다. 세계 인구의 54퍼센트인 41억 명이 인터넷을 쓰고 있다.
  • 인터넷 관련 산업이 방출하는 온실가스는 2025년까지 두 배로 증가할 전망이다.

인터넷 트래픽의 주범은 영상 스트리밍이다. 트래픽의 60퍼센트를 차지한다. 영상 스트리밍은 연간 3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데, 전 세계 배출량의 1퍼센트에 해당한다.
  • 영상 스트리밍 트래픽의 3분의 1을 포르노가 차지한다. 포르노에서 연간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벨기에 국가 전체의 1년 배출량보다 많다.
  • 3분의 1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와 여기서 공유되는 유튜브 같은 영상 클립에서 나온다.
  • 나머지 3분의 1은 넷플릭스, 아마존 프라임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의 몫이다.

결론: 제조업 부진과 이동 제한으로 도심 오염이 일부 개선됐지만 그사이 인터넷은 점점 강력해지고 있다. 이 흐름이 이어지면 또 다른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넷플릭스를 끊을 수 없다면 모바일 네트워크 대신 와이파이를 이용하고, 가급적 작은 화면에서 시청하는 것도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