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생전에 함께 생활하셨던 분들, 두 분과 같은 활동가 여러분이 추모의 시간을 가질 수는 없나?
황 ; 지자체에 따라 다르지만, 빈소를 차리지 않는다. 그리고 연고자가 찾아오지 않는 이상 화장을 마친 유골을 보여주지도 않는다. 홈리스는 사망한 후 장사법 상으로는 ‘시신 처리’의 대상일 뿐이다. 위생 보건상의 처리 말이다.
결국 홈리스는 사망 후 추모받을 권리도 갖지 못한다는 얘기다.
황 ; 그렇다. 나 또한 개인적으로 그런 경험이 있다. 개인적으로 친분을 쌓았던 분이 돌아가셨는데, 연고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제대로 장례를 치러드리지 못했다. 이런 점도 개선할 수 있도록 요구 중이다.
홍 ; 홈리스는 동료 시민이다. 그들도 물건을 구입하면 자연스럽게 소비세를 내게 된다. 이들의 장례와 추모가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는 이유다.
다만, 공영 장례에 왜 세금이 쓰여야 하는지를 묻는 목소리도 있을 수 있는데?
황 ; 장례 문화가 왜곡되어있다. 못해도 천만 원 돈이 들어가는 장례문화는, 사람의 죽음을 사업으로 보는 시각 때문에 생긴 것이다. 공영 장례를 가난한 사람들만 이용하는 것이라고 보는 시선이 몹시 위험하다. 장례와 추모에 공공성을 부여하고 누구나 애도할 수 있으며 누구나 애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홈리스는 적절하지 않은 주거 환경에 사는 모든 사람이라고 강조해 주셨다. 그렇다면 적절한 주거가 가져올 수 있는 변화가 무엇인지, 왜 우리에게 지금 홈리스 추모제가 필요한지 말씀해 달라.
황 ; 할머니 노숙인 한 분에 관한 이야기를 해 드리고 싶다. 이분이 원래는 서울역 근처 호텔 화장실에서 지내셨는데, 각종 지원을 받으면서 고시원을 거쳐 결국 공공 임대 주택에 살게 되셨다. 그런데 집이 생기자 이분에게 애착하는 물건이 생기기 시작했다. 정을 줄 수 있는 물건 말이다. 그래서 옷 한 벌도 하나하나 고민해서 구입하기 시작했다. 안정된 거처가 생기고 나니 동네 소식에도 관심을 기울이신다. 지역 커뮤니티에 소속되는 것이다. 자신의 거처가 생긴다는 것은 이런 의미다.
글
신아람 에디터
* 2022년 12월 20일에 이메일로 전해 드린 ‘북저널리즘 톡스’입니다.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인터뷰를 메일함에서 바로 받아 보시려면 뉴스레터를 구독해 주세요.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