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한부가 된 인디 예술의 성지
공상온도 함현희 대표
공상온도는 2016년 1월 서울 마포구 홍대 앞 복합 문화 공간으로 시작했다. 카페를 겸하며 각종 독립 서적과 음반을 판매한다. 다양한 인디 음악 공연, 연극, 전시가 열린다. 최근 매장 운영의 위기를 알리는 ‘
시한부 공상온도’ 게시글을 SNS에 올리며 화제를 모았다. 8년간 유지해 온 공간은 무엇 때문에 위기에 처했나? 뚜렷한 시장 반응이 없을 때도 인디 예술계는 지속돼야 할까? 공상온도 함현희 대표를 만났다.
위기에 처하는 업장은 많지만 솔직하게 상황을 밝히고 도움을 요청하는 곳은 잘 없다. 운영자 입장에서 용기가 필요했겠다.
‘이걸 공론화하는 게 맞나’라는 고민을 굉장히 많이 했다. 말씀하신 것처럼 가게 운영이 어려운 건 우리만이 아니다. 공론화하기 전 지인분들 연락했을 때 훨씬 심각한 상황의 분들도 사실 있었다. 하지만 역으로 소상공인들 모두가 힘들기 때문에 이걸 누군가는 꺼내어 얘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혼자 속앓이하다가 나중에 말없이 문 닫는 것보다는, 이 공간을 좋아했던 분들에게 털어놓고 함께 고민하고 싶었다.
어디서 시작한 위기인가? 늘 위기였나.
2019년 지금의 공간으로 강제 이사를 하며 한 차례 위기였다. 기존 공간의 임대인이 건물 재건축을 진행하며 임대차보호법의 구멍으로 그곳을 나올 수밖에 없었다. 당시 이사할 비용도 부족해 업체를 쓰지 않고 지인들 도움 받아가며 이 공간을 혼자서 직접 다 꾸몄다. 그러나 지금의 어려움은 그때와는 차원이 다르다. 당시엔 공상온도의 위기였다면, 지금은 소상공인 모두의 위기 아닐까 싶다.
코로나19가 종식하며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나.
오히려 반대다. 작년 중후반부터 자영업하는 분들끼리 만나 “괜찮으세요?”라고 물으면 “더 힘든 것 같아요”, 이런 대화가 오갔다. 처음 코로나19가 시작할 땐 다들 ‘곧 끝나겠지’하며 대출받았다. 그땐 희망이 있었다. 그런데 다들 알다시피 이 기간이 짧게 끝나지 않았다. ‘조금만 더 버티면 되겠지’하는 생각으로 대출도 늘려 왔다. 이젠 그걸 갚아야 하는 시점이다. 그런데 최근 인건비에 식자재 값이 많이 올랐고 공과금도 폭등했다. 자영업자들이 ‘그만두고 싶어도 못 그만둔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웬만한 회사원 월급으로는 이 대출금을 감당하기 불가능하다.
운영비와 별개로 방문객 수 자체는 늘지 않았는지?
올해 3월에 접어들며 매출이 특히 안 좋았다. 원래 3월은 카페에서 매출이 잠깐 주춤하는 시기다. 날씨가 풀리며 야외 활동도 많아지고 개강도 하니까. 그러나 지난 8년 공간을 운영하며 이 정도로 매출이 줄었던 적은 없다. 공연도 인지도가 정말 높은 뮤지션이 아닌 이상 예전에 비해 모객이 쉽지 않다. 감히 저희 같은 자영업자가 추측하건대 소비 자체가 위축된 것 아닐까 싶다. 물가나 공과금이 다 오르니 카페 두 번 갈 것도 한 번 가고, 문화생활 두 번 할 것도 한 번으로 줄이는 거다.
공론화 소식이 소셜 미디어에서 빠르게 퍼지며 이목을 끌었다. 주변 반응은 어떤가.
공상온도가 생긴 이래 가장 큰 관심을 받은 때 아닐까 싶다. SNS의 좋아요 수나, 연락 주신 분들의 수적으로나 과분한 관심을 받고 있다. 함께 했던 시간을 인스타그램 스토리나 게시물로 올려 주신 분들이 정말 많았다. ‘공상온도가 사라지면 우리가 설 자리가 없다’, ‘내 책을 입고해 준 유일한 서점이었다’ 등 과분한 말들을 해주셨다. 그거 하나하나 안 읽어볼 수 없었다. 일일이 감사 인사를 못 드려 죄송할 따름이다.
실제로 모금이나 모객, 협업도 이뤄지고 있는지 궁금하다.
많은 분들이 연락을 주셨음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판도가 바뀔 만큼 금액적 지원은 없었다. 다만 달라진 게 있다면, 뭐라도 해볼 수 있겠다는 힘이 생겼다. 내 삶에서 가장 소중한 걸 잃어야 한다는 생각이 처음 들었을 땐 어떠한 이성적인 판단도 안 됐다. 지금은 많은 분들의 응원 덕분에 감사와 불안 속에서라도 미래를 그려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