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일을 사지 않아도 생각나는 브랜드
윤현상재 최주연 디렉터
타일 매장이 빼곡히 들어선 학동역 부근에 윤현상재의 본사가 있다. 건물 꼭대기로 올라가면 전시장도 있다. 사무실에 예술 작품을 전시해 놓는 것은 특이하지만, 동시에 어딘가 ‘윤현상재’스럽다는 모습을 지울 수 없다. 타일 기업으로 시작한 윤현상재는 타일이 필요 없는 이들에게도 찾고 싶은 브랜드가 됐다. 윤현상재는 어떻게 타일을 넘어서는 브랜드를 일궜을까.
윤현상재는 타일 회사인가?
윤현상재라는 이름에서부터 레거시가 느껴지지 않나. 30년 정도 타일을 만들어 온 회사다. 지금은 이 시대의 문화를 만드는 플랫폼을 지향한다. 굳이 타일만이 아니더라도 인테리어, 디자이너, 건축가가 모여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다. 10년 전에는 스페이스비이를 만들었다. 리브랜딩을 하면서 들뢰즈의 ‘되기’라는 개념에 주목했고 사물이 또 다른 상태를 이루는 이야기에 집중했다.
리브랜딩의 계기가 궁금하다.
타일 분야는 가격 경쟁이 엄청났다. 피로감을 느꼈다. 문득 학교와 집, 직장으로 자신을 소개하는 사람도 있지만, 좋아하는 작품이나 음악, 취향으로 자신을 소개하는 사람도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데이터보다는 취향과 경험으로 자신을 설명하는 브랜드를 만들고 싶었다. 그런 기업의 이야기에는 마음으로 통하는 것에서 오는 감동이 있다. 이 감동이 그 브랜드의 팬덤을 만든다. 좋은 회사, 철학이 있는 회사는 고객이 먼저 찾게 된다.
기존의 타일을 파는 방식에서는 어떤 한계를 느꼈나?
과거에는 SNS와 같은 외부의 창구가 없었으니, 완전히 디자이너만의 리그였다. 사실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이런 회사가 크게 확장하는 게 달가운 일만은 아니다. 나만 아는 맛집이 좋으니까. (웃음) 그래서인지 타일 회사는 모두 아는 사람만 찾는 그런 시장이었다. 점차 세상이 바뀌고 있다는 걸 인식하고 나니 이 기회를 활용해야겠다고 생각했다. 두려움보다는 세상이 바뀌고 있다는 걸 감지했던 것 같다. 윤현상재만이 가진 강점이 있으리라 판단했고, B2B보다는 B2C에 초점을 맞춰 소비자를 공략했다. 그들과 소통하는 데서 시작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