꼭 보셨으면 하는 이용 가이드
북저널리즘이 처음이신가요? 간단한 사용법을 안내해 드릴게요. 30초면 충분합니다. 팝업창을 클릭하시면 이용 가이드로 이동합니다.
오늘은 그만 볼게요.
북저널리즘 bookjournalism
Cart
0
About
Contents
Contact
For Writers
Log in
Join us
Cart
0
Filter
Search
Millennials, Balance
미국의 우상이 된 쿠바인, 핏불
초국적 시대, 나로 살아가기
정체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정의하는 것. 초국적 시대에 필요한 질문 ‘나는 누구인가?’ 쿠바 이민 2세인 뮤지션 핏불(Pitbull)은 세상에 자신을 맞추지 않는다. 세상을 자신의 팬으로 만든다. 핏불은 쿠바인이라는 자신의 뿌리를 활동 기반으로 삼았다. 미국 팬들은 모로코, 브라질, 인도 등 다양한 배경을 지닌 뮤지션과 협업하고, 미국 힙합에 라틴의 정서를 가미하는 그의 음악에 열광한다. 핏불은 새로운 시대의 우상이다. 이제 출신 학교나 국적과 같은 물리적 경계가 활동을 제약하는 시대가 지났다. 중요한 것은 '나는 어떤 사람인가’에 대한 고민과 해답이다. 핏불은 초국적 시대에 나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 여전히 유효한 이유를 보여 준다. * 10분이면 끝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A4 9장 분량).
Millennials, Balance
가장 상업적이고 가장 예술적인 아티스트, 뱅크시
예술과 현실이 교차하는 퍼포먼스 화법
체제 안에서 체제를 비판하는 거리 예술가. 뱅크시의 화법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거리 예술가 뱅크시는 사회 문제를 고발하고 체제를 비판하는 그림을 도시의 벽과 건물에 남긴다. 주류 문화를 조롱하고 변용하지만, 오히려 주류의 사랑을 받는다. 뱅크시의 비판 대상인 자본과 도시는 뱅크시에 열광한다. 저자는 이를 연극의 한 요소인 퍼포먼스 화법으로 분석한다. 퍼포먼스 화법의 핵심은 일상에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다. 뱅크시는 현실의 문제를 예술의 주제로 삼고, SNS에 직접 작품을 올리면서 예술, 작품, 관객의 밀접한 관계를 만들어 낸다. * 17분이면 끝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A4 11쪽 분량). * 《문화와 융합》 40권 3호의 〈거리 예술가 뱅크시 분석〉을 수정, 재편집했습니다.
Millennials, Politics
일할 수 없는 여자들
공부한 여자들은 왜 밀려나는가
고학력 여성이 늘어났지만 노동 시장의 성차별은 여전하다. 여성이 밀려나는 이유는 능력 부족이 아니라 구조 탓이다. 여성이 대학에 가거나 직장에 다니는 것이 당연한 시대다. 그런데 여성은 노동 시장에서 여전히 불리한 위치에 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일까. 저자는 여성의 성장을 가로막는 구조의 문제를 지적한다. 여성에게 가사 노동을 전가하는 구조는 여성을 이탈 가능성이 높은 존재로 만든다. 여성이 기업의 투자 대상이 되지 않고, 여성은 핵심 노동에서 배제되는 악순환 고리가 생겨난다. 일하고 싶은 여성을 위한 사회가 필요하다.
Millennials
24시간 뉴스 시대의 연민 피로
타인의 고통을 염려하지 않는 사람들
ⓒThe Guardian 충격과 분노를 일으키는 이미지의 홍수, 정보를 거부하고 마음을 닫는 사람들. 24시간 끔찍한 뉴스가 쏟아지면서 타인의 고통을 염려하지 않는 시대가 되었다. 저자는 공감도 소진되는 자원이라고 주장한다. 눈앞의 참상이 워낙 크고 많아서 더 이상 내어 줄 공감이 없는 상태라는 지적이다. 연민 피로는 개인의 병리 현상에 그치지 않는다. 타인의 고통에 대한 무관심과 무력감은 또 다른 폭력으로 이어진다. 24시간 뉴스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은 연민 피로의 징후를 스스로 살피고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 15분이면 끝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A4 8장 분량). The Guardian × BOOK JOURNALISM 북저널리즘이 영국 《가디언》과 파트너십을 맺고 〈The Long Read〉를 소개합니다. 〈The Long Read〉는 기사 한 편이 단편소설 분량이라 깊이 있는 정보 습득이 가능하고, 내러티브가 풍성해 읽는 재미가 있습니다. 정치, 경제부터 패션, 테크까지 세계적인 필진들의 고유한 관점과 통찰을 전달합니다.
Millennials, Balance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
그럼에도, 나는 영화감독을 꿈꾼다
창의적인 것들은 한순간에 나타나지 않는다.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이 필요하다. 끊임없이 생산성을 외치는 사회에서 창의적인 일은 가치를 인정받기 힘들다. 과정에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은 쉬이 과소평가된다. 영화감독 지망생 15인을 심층 인터뷰해 창조적 작업을 위한 과정을 살폈다. ‘덕질’을 하고 ‘멍 때리는’ 시간과 같이 비생산적으로 보이는 과정이 없이는 창작물도 없었다. 미래는 점점 예측 불가능해지고, 모두가 창의적인 능력을 요구받는다. 하지만 그 과정에 대한 존중은 부족하다. 정답이 없는 상황에서는 다들 저마다의 시행착오를 거치며 성장해야 한다. 지망생들을 통해 비생산적인 생산의 시간의 가치를 재조명한다.
Millennials, Balance
팝 에로티카
엘비스에서 트와이스까지, 대중음악의 에로티시즘
엘비스 프레슬리에서 김추자, 박진영, 트와이스까지. 금기와 협상하고 경계를 무너뜨리는 대중음악의 에로티시즘. 대중음악은 사회가 가진 금기의 경계를 넘나들며 노래한다. 우리가 음악을 보고 들으며 때로는 전율을, 때로는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다. 사회학자로서 대중음악을 집중적으로 연구해 온 저자가 대중음악의 에로티시즘을 분석한다. 엘비스 프레슬리에서 트와이스까지, 그들이 위치했던 사회의 맥락에 따라 다양한 양상이 드러난다. 새로운 시대의 에로티시즘은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도 짚어 본다. * 20분이면 끝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A4 11장 분량).
Millennials, Business
블룸하우스는 어떻게
‘겟 아웃’을 만든 영화사의 흥행 전략
설립 20년 만에 ‘호러 명가’로 부상한 중소 영화 제작사, 블룸하우스의 성공에는 몇 가지 법칙이 있다. 블룸하우스는 〈겟 아웃〉, 〈23 아이덴티티〉, 〈파라노말 액티비티〉 등 공포 영화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작품을 잇따라 내놓으며 신흥 호러 명가로 부상했다. 블룸하우스의 영화들은 흥행에 크게 성공하지 못해도 대부분 박스오피스 상위에 오르며 손익 분기점을 넘긴다. 막대한 자본의 대형 제작사와 신생 미디어의 활약 속에서도 중소 제작사 블룸하우스가 흥행 가도를 달릴 수 있는 이유, 탁월한 브랜드 전략과 경영 원칙, CEO의 철학을 분석한다. * 20분이면 끝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A4 13장 분량).
Millennials, Business
자라지 않는 소녀, 바비
여성 브랜드의 위기와 생존 전략
대중문화의 아이콘이자 페미니즘의 키워드가 된 장난감. 바비는 현실 세계 소녀들의 꿈을 따라잡을 수 있을까. 1959년 출시된 바비는 아기를 돌보는 ‘엄마 놀이’밖에는 할 수 없었던 소녀들에게 집 밖의 화려한 세상을 보여 주면서 성공 가도를 달렸다. 그러나 21세기의 소녀들에게 바비가 상징하는 화려한 패션과 날씬한 몸매는 더 이상 선망의 대상이 아니다. 진취적인 이상을 꿈꾸는 디즈니의 공주들, 아이들의 여가 시간을 점유하기 시작한 넷플릭스, 유튜브는 새로운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달라진 세상에서 영원히 늙지 않는 소녀는 위기를 맞고 있다. *22분이면 끝까지 읽을 수 있습니다(A4 13쪽 분량).
Millennials, Balance
팍스, 가장 자유로운 결혼
프랑스에서 부부 대신 파트너로 살기
두 성인의 계약으로 완성되는 팍스(PACS), 행복한 결혼은 평등한 관계로부터 출발한다. 프랑스 커플은 결혼하지 않는다. 대신 팍스를 맺는다. 팍스는 비혼 커플이 배우자 권리를 인정받는 파트너십 제도다. 팍스를 맺은 커플은 부부라는 표현 대신, 서로를 파트너로 소개한다. 파트너라는 표현에는 평등한 관계의 두 성인이 서로의 합의에 의해 함께 살아가고 있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팍스는 결혼의 본질에 대해 말하고 있다. 가족을 만드는 것은 두 성인의 평등한 계약이며, 결혼 후에도 각자가 독립적인 개인으로 함께할 수 있어야 한다.
Millennials, Balance
다시, 을지로
우리는 지금 을지로에 간다
새롭게 북적이는 을지로. 익숙함에 상상력을 더한 공간. 을지로가 낯설어졌다. 쇠락한 제조업 지구였던 을지로는 어느 새 젊고 ‘핫’한 공간이 되었다. 을지로에 정착한 청년들은 딱히 돈이 되지 않는 전시나 공연을 개최하고, 제조업 종사자가 들를 것 같지 않은 음식점을 열었다. 놀랍게도 그들의 비합리적인 행동이 을지로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었다. 노동의 기억이 내려앉은 회색의 장소에 다채로운 즐거움이 고이고 있다. 을지로는 일상의 익숙함과 젊은 상상력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고 있다.
Millennials, Balance
합니다, 독립술집
나는 술을 팔기로 했다
문화와 트렌드, 취향을 파는 사람들. 한창 젊은 그들은 왜, 술집을 차렸을까. 최근 들어 서울에는 술과 취향을 함께 파는 사람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은 스스로를 기획자라 부르며 새로운 문화와 트렌드를 창조하고 있다. 그런 가게를 ‘독립술집’이라는 이름으로 정의해 보기로 했다. 독립술집은 세상에 없던 말이다. 그러나 “언어가 없으면 무의식도 없다”는 라캉의 말처럼 언어가 없어 존재를 인식하지 못했을 뿐이다. 독립술집의 형태나 문화는 이미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독립술집을 꾸려 가는 젊은 사장들을 만났다.
Millennials, Future
미래의 교육, 올린
현존하는 가장 이상적인 학교
우리가 꿈꿔 온 미래의 교육을 실현하고 있는 학교. 교육 혁신을 고민한다면 반드시 올린을 주목해야 한다. 설립 15년 만에 명문 반열에 오른 대학. 구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입도선매하는 졸업생을 배출하는 대학. 미국의 학부 중심 4년제 대학 ‘올린 공대’는 미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학교다. 올린의 교육 연수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한 저자가 교수 주도의 가르치는 교육에서 학생 주도의 배우는 교육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방법, 학교 내에서 변화를 확산시키는 조직 관리 전략까지 올린의 혁신 비결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Filter
ⓒ 2018 Threechiars. All rights reserved.
Category
All
/
Millennials
/
Balance
/
Future
/
Politics
/
Business
Sort by
Latest
/
Popular
/
Our Picks
List Style
Only Title
/
Thumbnail
Close
Search
Recommended
팍스
|
YC
|
버닝맨
|
블루보틀
|
저널리즘
Close
1
2
THREECHAIRS
PUBLISHING COMPANY
(주)스리체어스 서울시 종로구 사직로 67 2층
Business Registration No. : 101-86-90847
Mail Order Sales No. : 2014-서울종로-0959
대표 : 이연대
contact@
threechairs.
kr
02)
396-6266
Terms of Use
Privacy Policy
© 2019
Threechair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