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ooks
series
review
longread
talks
bbr
podcast
series archive
live
more
브랜드 소개
블로그
문의
멤버십 가입
멤버십 가입
검색
사용자
0
로그인
회원 가입
멤버십 가입
검색
사용자
0
로그인
회원 가입
0
로그인
회원 가입
#교육
키워드로 원하는 주제를 찾아보세요.
필요한 키워드가 있으시면 문의 페이지로 알려 주세요.
최신순
인기순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경고
2개월 전
트럼프 행정부가 미국 대학을 향해 ‘개혁’을 요구합니다.
review
학교가 사라진 세계
5년 전
성장과 균형을 이끄는 가장 강력한 엔진, 교육이 멈춰 섰다. 코로나19의 가장 큰 피해는 경제가 아니라 교육에서 발생할 것이다.
미래 학교
5년 전
앉아서 듣는 학생에서 문제를 발견하는 학생으로, 가르치는 교사에서 돕는 교사로. 경험과 협업으로 배우는 미래의 학교를 만난다.
노동과 TV의 변화, 지방과 코끼리의 생존
2년 전
북저널리즘 라디오의 에피소드 #70에선, 지금 이 시대의 노동 개혁, 위기에 빠진 TV 시장, 소멸 위기 지역과 고향사랑기부제, 생물다양성과 국립공원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사라지는 언어가 말하는 것
2년 전
우리는 지금 당장, 사라지는 언어를 구해야 한다.
동상이몽 이모지
2년 전
비즈니스에서 이모지는 소통 수단과 상품으로 정착했다. 디지털 소통의 시대에 이모지는 어떤 문제인가?
잘파 세대의 독수리 타법
1년 전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익숙한 세대에게도 긴 글을 읽고 써야 하는 이유가 있다.
series archive
이미 도착한 검색의 미래
2년 전
챗GPT의 이용자가 100만 명을 돌파했다. 일각에서는 챗GPT가 구글 검색을 대체할 것이라 전망한다.
언어의 줄다리기
2년 전
문해력 논란이 잊을 만하면 반복되고 있다. 이는 세대 갈등이란 문제를 읽어내지 못한 우리 사회 전체의 문해력 부족을 뜻한다.
버섯은 가죽으로, 검색은 인공지능으로, 투자는 아프리카로
2년 전
북저널리즘 라디오의 에피소드 #67에선, 마스크 의무 착용 해제, 버섯으로 만든 가죽의 가능성, 국제 사회 속 성장한 아프리카의 영향력, 오픈 AI의 인공지능 모델 ‘챗GPT’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완벽하지 않을 바에야 말하지 않는 이들
2년 전
MZ세대에 콜 포비아라는 병명이 붙었다. 이들을 공포에 몰아넣은 원인은 정말 통화일까?
교권 침해와 학생 인권의 동상이몽
3년 전
교권을 위협하는 것은 학생의 권리일까? 인권과 교권은 양립 가능한가?
1
2
3
4
5
6
Close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