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books
series
review
longread
talks
bbr
podcast
series archive
live
more
브랜드 소개
블로그
문의
멤버십 가입
멤버십 가입
검색
사용자
0
로그인
회원 가입
멤버십 가입
검색
사용자
0
로그인
회원 가입
0
로그인
회원 가입
#법
키워드로 원하는 주제를 찾아보세요.
필요한 키워드가 있으시면 문의 페이지로 알려 주세요.
최신순
인기순
홍범도 장군과 뉴라이트 정권
1년 전
육군사관학교의 홍범도 장군 흉상이 철거된다. 정부는 무얼 감추려 역사 전쟁을 걸었나.
series archive
휘파람을 불 권리
1년 전
AI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주체가 없다.
series archive
방송이란 무엇인가
2년 전
방통위가 개점휴업 상태다. 종편 때문이다. 방송과 뉴스의 미래가 불안하다.
백병원 폐원은 시작에 불과하다
2년 전
서울시 중구의 마지막 종합 병원이 사라진다. 한국의 현주소가 드러난다.
갓생도, 기후도, 반지하도 위기
2년 전
북저널리즘 라디오의 에피소드 #50에선, 청년 세대의 위기 시그널인 ‘갓생’ 트렌드,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 법안, 서울시의 반지하 주택 대책, 우크라이나 자원봉사자 인터뷰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부흥의 국가, 일본의 결심
2년 전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를 결국 방류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 그러나 가능성이 낮다.
히잡을 태워 봄을 그리다
2년 전
한 여성의 죽음으로 촉발된 이란의 히잡 거부 시위가 반정부 시위로 번지고 있다. 이 시위의 의미와 여파는 거대하다.
왕의 DNA를 신봉하는 이유
1년 전
절박한 부모들이 나쁜 선택을 한다. 그 선택의 이유는 기울어진 의료 접근권이다.
우리에게 삼성전자란
2년 전
그가 끝내 회장직에 올랐다. 새로운 삼성전자는 위기 속에서 더 잔인해진다.
뉴스와 교육은 변화하고 일본은 극복한다
2년 전
북저널리즘 라디오의 에피소드 #72에선, 새로운 뉴스 형식의 등장,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윤석열 정부의 교육 개혁에 관해 이야기합니다.
죽을 권리가 인정받기까지
1년 전
네덜란드는 세계 최초로 안락사를 합법화했다. 어떤 논의를 거쳐 왔을까?
series archive
미국은 깨졌다
3년 전
로 대 웨이드 판결이 뒤집혔다. 미국이 내세웠던 가치도 낙태 접근성과 함께 사라지고 있다.
1
...
4
5
6
7
8
9
...
14
Close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