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균관대학교 천정환 교수 - 불평등 재생산의 기지, 대학2개월 전출신 대학이 나고 자란 아파트까지 알려 주는 시대다. 학벌주의의 한국에서 지금 교육의 위기는 어떤 의미인가.
활동가학자와 연구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박지현 전 민주당 공동비대위원장 - 우리 같이 정치할래요?3개월 전지금까지 청년 정치는 기성 정치인에게 잘 보여야 하는 줄서기 정치에서 크게 자유롭지 못했다. 그 틀을 깨고 싶다.
저자와 창작자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뉴스, 토크하다》 저자 엄기영 – 대화에서 찾은 뉴스의 미래4개월 전팩트만으로는 부족하고 복잡한 시대다. 토크 뉴스는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서 새롭다.
저자와 창작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탈식민주의 운동가 단하야 호발릐그 - 우리는 지금도 전장으로 끌려가고 있다4개월 전푸틴이 내린 동원령의 진짜 피해자는 아시아 소수 민족이다. 러시아 내 아시아 소수 민족은 2등 국민일 뿐이다.
저자와 창작자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아루 이명진 대표, 이아란 편집장 - 믿음직한 콘텐츠가 만드는 광장7개월 전여성을 위한 성 지식 콘텐츠가 비즈니스가 됐다. 이들의 콘텐츠는 누구에게, 무엇을 말하나?
저자와 창작자창업자와 경영자정치와 사회미디어공간과 커뮤니티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 임소연 작가 - 신비롭지 않은 모두를 위하여10개월 전비판만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없다. 그저 내버려 두기에 과학은 우리의 삶에 너무 큰 영향을 미친다. 이제는 여성의 시각에서 과학을 바라볼 시점이다.
저자와 창작자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희망을만드는법 박한희 변호사 – 트랜스젠더 선수의 스포츠 경기 참여를 논하다10개월 전혹자는 “스포츠는 이미 너무 공정한데 갑자기 트랜스젠더가 들어와 이를 교란한다”고 말한다. 더 포괄적인 차원에서의 ‘공정’을 논의해야 한다.
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민주노점상전국연합 최인기 수석부위원장 - 노점상은 격차가 만들어낸 상업 형태이다11개월 전우리 사회는 얼마나 상생하고 있는가? 가장 그늘진 곳에서 바라보면 현실이 보인다. 노점상의 눈높이에서는, 달라진 것이 없다.
저자와 창작자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소설가 정지돈 - 우리 모두는 픽션 속에 산다11개월 전정지돈은 현실이 팩트와 픽션의 뒤엉킴이라 정의한다. 이분법을 넘어야만 새로운 구조가 보인다.
저자와 창작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반포도서관 조금주 관장 - 미래는 공공도서관에 있다1년 전도서관은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이다. 미래를 위해 지금의 도서관을 바꿔야 한다.
활동가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공간과 커뮤니티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에이아이파크 박철민 대표 - AI와 함께 할 미래에 대해1년 전20대 대선의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AI였다. 미래는 얼마나 가까이 와 있는가?
창업자와 경영자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는 변호사들 권유림, 김성우, 송시현 변호사 - 동물에게 보장되는 권리가 당연한 사회를 바라보며1년 전동물보호법의 빈틈은 그대로인데 학대는 진화한다. 무엇이 동물을 보호하나?
활동가정치와 사회지속 가능한 지구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행동하는 보통남자들’ 이한, 홍상기 활동가 - 이대남이길 거부하는 이대남들1년 전(AUDIO) 이번 대선은 줄기차게 이대남을 소환했다. 그러나 우리는 진짜 이대남을 만나본 적이 없다.
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김민하 시사평론가 - 2022 대선 D-20, 유권자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는가1년 전(AUDIO) 역대 최악의 비호감 대선이라는 평가를 받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최근《저쪽이 싫어서 투표하는 민주주의》를 출간한 김민하 시사평론가와 함께 유권자들이 생각해 봐야 할 지점을 이야기 나눈다.
저자와 창작자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노서진 정의당 청소년위원회 위원장 - 더 이상 지워지는 사람이 없도록1년 전청소년들이 정치에 관심이 없는 이유는 내가 정치를 통해 무언가 바꿔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정치적 효능감의 부재다.
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타투하는 의사》 조명신 저자 - 몸에 타투 있으세요?1년 전(AUDIO) 지난 30년간 공전한 타투 합법화 논쟁의 본질은 무엇인가. 현직 의사 겸 타투이스트가 답한다.
저자와 창작자정치와 사회라이프 스타일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백종우 회장 - 코로나로 다친 당신의 마음은 안녕한가요?1년 전(AUDIO) 감염병 재난이 몰고온 격차 쇼크는 정신 건강에서도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코로나 2년, 우리 사회의 마음에 안부를 묻는다.
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SBS 유혜승 PD - 꼬꼬무 이야기를 들은 오늘 당신의 생각은?1년 전객관적 팩트와 주관적 시각이 더해질 때 생동감이 피어난다. 유기체 같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저자와 창작자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의사들은 왜 그래?》 김선영 저자 - 싸가지 없음에 대하여1년 전환자에게 신뢰받는 의사는 드라마 속 판타지일까. 의사 불신의 시대상에서 지속 가능한 의료의 조건을 읽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