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죽이기》 정영주·홍종윤 저자 - 공영 방송 KBS, 죽이기가 아닌 고쳐 쓰기1개월 전한국 공영 방송 제도는 한국 사회 정치의 축소판이다. 현실의 KBS를 지우고, 공영 방송에 대한 근본적 고민을 제시한다.
저자와 창작자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KBS 〈추적 60분〉 박병길 PD - 가짜 뉴스의 시대에 진실을 추적하는 법1개월 전저널리스트는 결론을 내리지 않는다. 대신 현장의 목소리를 종합해 전달함으로써 돌파구를 찾는다.
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재개발의 정치학》 김민석 저자 - 디밸로퍼가 본 부실시공의 진짜 문제4개월 전우리는 뭘 지어도 이익이던 성장 시대의 후폭풍을 겪고 있다. 우리가 도시 계획에 무관심하면 사고는 반복될 것이다.
저자와 창작자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공간과 커뮤니티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테서 이수현·안재성 대표 - 누구나 MRI 결과를 읽을 수 있는 시대4개월 전쉬운 의료 정보는 세상에 없는 말이었다. 새로운 시대가 이를 가능케 할지 모른다.
창업자와 경영자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Antimatter 조너선 리보브 대표 – 밈이 교실을 구한다5개월 전밈으로 공부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 괴짜의 실험이 아니다.
창업자와 경영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오송역》 저자 전현우 - 교통으로 도시 문제를 들여다보다6개월 전교통은 결국 사회 거의 모든 문제의 압축판이 된다. 그런데 우리 앞에는 기후 위기가 도래했다.
저자와 창작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성균관대학교 천정환 교수 - 불평등 재생산의 기지, 대학8개월 전출신 대학이 나고 자란 아파트까지 알려 주는 시대다. 학벌주의의 한국에서 지금 교육의 위기는 어떤 의미인가.
활동가학자와 연구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박지현 전 민주당 공동비대위원장 - 우리 같이 정치할래요?9개월 전지금까지 청년 정치는 기성 정치인에게 잘 보여야 하는 줄서기 정치에서 크게 자유롭지 못했다. 그 틀을 깨고 싶다.
저자와 창작자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뉴스, 토크하다》 저자 엄기영 – 대화에서 찾은 뉴스의 미래10개월 전팩트만으로는 부족하고 복잡한 시대다. 토크 뉴스는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전달된다는 점에서 새롭다.
저자와 창작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탈식민주의 운동가 단하야 호발릐그 - 우리는 지금도 전장으로 끌려가고 있다10개월 전푸틴이 내린 동원령의 진짜 피해자는 아시아 소수 민족이다. 러시아 내 아시아 소수 민족은 2등 국민일 뿐이다.
저자와 창작자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아루 이명진 대표, 이아란 편집장 - 믿음직한 콘텐츠가 만드는 광장1년 전여성을 위한 성 지식 콘텐츠가 비즈니스가 됐다. 이들의 콘텐츠는 누구에게, 무엇을 말하나?
저자와 창작자창업자와 경영자정치와 사회미디어공간과 커뮤니티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신비롭지 않은 여자들》 임소연 작가 - 신비롭지 않은 모두를 위하여1년 전비판만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없다. 그저 내버려 두기에 과학은 우리의 삶에 너무 큰 영향을 미친다. 이제는 여성의 시각에서 과학을 바라볼 시점이다.
저자와 창작자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희망을만드는법 박한희 변호사 – 트랜스젠더 선수의 스포츠 경기 참여를 논하다1년 전혹자는 “스포츠는 이미 너무 공정한데 갑자기 트랜스젠더가 들어와 이를 교란한다”고 말한다. 더 포괄적인 차원에서의 ‘공정’을 논의해야 한다.
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민주노점상전국연합 최인기 수석부위원장 - 노점상은 격차가 만들어낸 상업 형태이다1년 전우리 사회는 얼마나 상생하고 있는가? 가장 그늘진 곳에서 바라보면 현실이 보인다. 노점상의 눈높이에서는, 달라진 것이 없다.
저자와 창작자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소설가 정지돈 - 우리 모두는 픽션 속에 산다1년 전정지돈은 현실이 팩트와 픽션의 뒤엉킴이라 정의한다. 이분법을 넘어야만 새로운 구조가 보인다.
저자와 창작자미래 전망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반포도서관 조금주 관장 - 미래는 공공도서관에 있다1년 전도서관은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이다. 미래를 위해 지금의 도서관을 바꿔야 한다.
활동가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공간과 커뮤니티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에이아이파크 박철민 대표 - AI와 함께 할 미래에 대해1년 전20대 대선의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AI였다. 미래는 얼마나 가까이 와 있는가?
창업자와 경영자정치와 사회미디어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는 변호사들 권유림, 김성우, 송시현 변호사 - 동물에게 보장되는 권리가 당연한 사회를 바라보며1년 전동물보호법의 빈틈은 그대로인데 학대는 진화한다. 무엇이 동물을 보호하나?
활동가정치와 사회지속 가능한 지구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행동하는 보통남자들’ 이한, 홍상기 활동가 - 이대남이길 거부하는 이대남들1년 전(AUDIO) 이번 대선은 줄기차게 이대남을 소환했다. 그러나 우리는 진짜 이대남을 만나본 적이 없다.
활동가정치와 사회
로그인 후 가능합니다.
김민하 시사평론가 - 2022 대선 D-20, 유권자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는가1년 전(AUDIO) 역대 최악의 비호감 대선이라는 평가를 받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최근《저쪽이 싫어서 투표하는 민주주의》를 출간한 김민하 시사평론가와 함께 유권자들이 생각해 봐야 할 지점을 이야기 나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