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포도서관 조금주 관장 - 미래는 공공도서관에 있다
1년 전
도서관은 누구에게나 열린 공간이다. 미래를 위해 지금의 도서관을 바꿔야 한다.활동가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공간과 커뮤니티
프로듀서 250 - 뻘짓의 미학
1년 전
나만의 '뽕'을 찾아 나선 프로듀서가 있다. 핸디캡은 무한한 상상력의 재료가 된다.저자와 창작자미디어아트와 디자인라이프 스타일
씨티보이 삼각지 안순철 대표 - 공간에 시간을, 시간에 감각을
1년 전
공간에는 시간이 담긴다. 이 공식에 콘셉트를 더해 씨티보이 삼각지를 완성했다.창업자와 경영자공간과 커뮤니티라이프 스타일
이융희 문화연구자 - 웹소설은 패션이다
1년 전
웹소설은 가장 빠르게 창작되며 독자와 가장 밀접하게 소통하는 콘텐츠이다. 웹소설의 가능성은 무한대다.미디어
인플루디오 박상엽 대표 - 덕후가 기술을 만나면 어떻게 될까?
1년 전
컬렉팅 시장에는 고질적인 문제가 있다. 의외로 찾는 게 굉장히 어렵다는 점이다. 덕질 문화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하다 보니 어느덧 팬들의 파트너가 됐다.창업자와 경영자
《비욘드 핸디캡》 고연수·김완혁 저자 - 언제 누구에게 찾아올지 모르는
1년 전
(AUDIO) 장애를 완전히 이해한 것도, 받아들인 것도 아니다. 그러나 나쁘게만 말하고 싶지 않다. 장애라는 사건을 통해 또 다른 기회들이 찾아왔기 때문이다.저자와 창작자활동가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I 지식》 박상길 저자 - 인공지능이 인류를 위협한다고?
1년 전
인공지능은 앞서 여러 기술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도구일 뿐이다. 선택은 오롯이 개인의 몫이다.저자와 창작자미래 전망
《비혼이고 아이를 키웁니다》 백지선 저자 - 내가 되고 싶은 가족을 찾아서
1년 전
정상가족 이데올로기는 깨졌다. 자신의 행복을 위해 다양한 관계를 시도하고 찾아가는 시기다. 내 선택은 입양이었다.저자와 창작자커리어
에이아이파크 박철민 대표 - AI와 함께 할 미래에 대해
1년 전
20대 대선의 또 다른 주인공은 바로 AI였다. 미래는 얼마나 가까이 와 있는가?창업자와 경영자정치와 사회미디어
동물의 권리를 옹호하는 변호사들 권유림, 김성우, 송시현 변호사 - 동물에게 보장되는 권리가 당연한 사회를 바라보며
1년 전
동물보호법의 빈틈은 그대로인데 학대는 진화한다. 무엇이 동물을 보호하나?활동가정치와 사회지속 가능한 지구
‘행동하는 보통남자들’ 이한, 홍상기 활동가 - 이대남이길 거부하는 이대남들
1년 전
(AUDIO) 이번 대선은 줄기차게 이대남을 소환했다. 그러나 우리는 진짜 이대남을 만나본 적이 없다.활동가정치와 사회
박은미, 전성신 니트생활자 대표 - 청년 니트에 대한 가장 사실적인 보고서
1년 전
니트컴퍼니는 내 존재나 상황에 대해 변명하거나 해명할 필요가 없는 곳이다. 우리의 가장 큰 역할은 사회적 자본을 만들어주는 것이다.활동가창업자와 경영자
김민하 시사평론가 - 2022 대선 D-20, 유권자는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는가
1년 전
(AUDIO) 역대 최악의 비호감 대선이라는 평가를 받는 제20대 대통령 선거. 최근《저쪽이 싫어서 투표하는 민주주의》를 출간한 김민하 시사평론가와 함께 유권자들이 생각해 봐야 할 지점을 이야기 나눈다.저자와 창작자정치와 사회
노서진 정의당 청소년위원회 위원장 - 더 이상 지워지는 사람이 없도록
1년 전
청소년들이 정치에 관심이 없는 이유는 내가 정치를 통해 무언가 바꿔본 경험이 없기 때문이다. 정치적 효능감의 부재다.활동가정치와 사회
제주 오각집 김대우 대표 - 지속 가능한 로컬 창업을 위하여
1년 전
새로운 자영업의 모델은 나로부터 시작한다. 구심점은 곧 지속 가능성이다.창업자와 경영자경영 전략공간과 커뮤니티
《타투하는 의사》 조명신 저자 - 몸에 타투 있으세요?
1년 전
(AUDIO) 지난 30년간 공전한 타투 합법화 논쟁의 본질은 무엇인가. 현직 의사 겸 타투이스트가 답한다.저자와 창작자정치와 사회라이프 스타일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백종우 회장 - 코로나로 다친 당신의 마음은 안녕한가요?
1년 전
(AUDIO) 감염병 재난이 몰고온 격차 쇼크는 정신 건강에서도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코로나 2년, 우리 사회의 마음에 안부를 묻는다.학자와 연구자정치와 사회
SBS 유혜승 PD - 꼬꼬무 이야기를 들은 오늘 당신의 생각은?
1년 전
객관적 팩트와 주관적 시각이 더해질 때 생동감이 피어난다. 유기체 같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저자와 창작자정치와 사회미디어
필름로그 백경민 대표 - A컷이 아니어도 괜찮아
1년 전
필름은 A컷을 찾기 위한 끝없는 노력에서 자유롭다. 디지털 사진 수백 장이 아닌, 사진 한 롤의 가치를 다시 생각하고 싶다.창업자와 경영자라이프 스타일
《고래가 그랬어》 김규항 대표 - 아이들은 생각보다 많은 걸 알고 있다
1년 전
‘좋은 어린이책’은 대개 어른들이 정한다. 우리는 어린이책의 주인은 어린이라는 사실을 기억하려 한다.창업자와 경영자미디어